즐겨찾기+ 최종편집:2024-04-19 오후 01:35:4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경상남도뉴스

일본 수출규제 대응 산업혁신분과 Kick off 회의 개최

경상남도내 소재·부품 기업 6개, 연구기관·대학교·유관기관 등 15개 참석
일본 수출규제 관련 업계동향 및 애로사항 청취, 대응방안 논의

인터넷함양신문 / 1551woo@hanmail.net입력 : 2019년 08월 09일

일본 수출규제 대응 산업혁신분과 Kick off 회의 개최

경상남도내 소재·부품 기업 6개, 연구기관·대학교·유관기관 등 15개 참석
일본 수출규제 관련 업계동향 및 애로사항 청취, 대응방안 논의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가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함에 따라 민관이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피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대응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경상남도 민관정협의회 전체회의 개최에 앞서 산업혁신분과 Kick off 회의를 8월 8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산업혁신분과 회의에는 경남도내 소재·부품 기업 6개*와 연구기관․대학교․유관기관 등 15개 기관**이 참석해 기업 애로사항 청취, 대응 준비사항 공유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 세아창원특수강, 두산공작기계, 한국GM 창원공장, 에디슨모터스, 두산중공업, 하이젠모터


** 경남도, 연구기관 4개(경남TP, 재료연구소,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대학교 산학협력단 3개(창원대, 경상대, 경남대), 유관기관 7개(한국무역협회, 경남KOTRA지원단,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기계산업진흥회 영남지사, 경남로봇산업협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경남지부, 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먼저 경상남도는 “불확실하고 어려운 대외경제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하는 상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고, 경남테크노파크는 일본 수출입 애로 상담 센터 운영과 NC 컨트롤러 국산화 개발 등 현재 기획중인 기업지원 사업을 설명했다.

이어 재료연구소는 “소재분야의 특성상 장기간의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하고 콘트롤 타워인 재료연구소가 재료연구원으로 승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첨단소재 실증단지 조성과 혁신형 R&D 센터 구축 등 소재분야 기업 지원방안을 설명했다.

이날 참석한 기업들은 “현재 수급차질 등의 애로사항은 없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본 협력업체가 CP기업인지 개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간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하더라도 신뢰성 문제나 완성업체의 요구로 인해 일본산 제품 사용이 많았는데, 일본 수출규제로 국산제품 사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발언도 있었다.

다만, “민관이 협력해 국산화을 추진하고 완성업체의 국산제품 사용 유도 등 적극적인 대응은 필요하지만, 언론 등에 자세하게 공개하여 참여 기업이 일본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회의에 참석한 교수들은 “중소기업이 제품을 개발해도 대기업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소재‧부품의 국산화만큼이나 대‧중소 상생구조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고, 대기업이 일본기업의 덤핑 판매 등에 휘둘리지 말고 국산제품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분과위원장인 천성봉 경남도 산업혁신국장은 “장기적으로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소재‧부품의 국산화 또는 수입 다변화 등을 지원해 제조 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 민관이 함께 대안을 마련해 나가자”고 밝혔다.

인터넷함양신문 / 1551woo@hanmail.net입력 : 2019년 08월 09일
- Copyrights ⓒ인터넷함양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가장 많이 본 뉴스
포토&인물
함양군 공고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제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의 규정에 .. 
【공고·고시】 소규모 위험시설 지정 및 ..  
어제 방문자 수 : 94,841
오늘 방문자 수 : 84,630
합계 방문자 수 : 307,909,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