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7-03 오후 06:17:2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

해인사·성주사 불상 2건, 보물 지정 예고

해인사 금동불좌상과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등 예술·학술적 가치 높아
30일간 의견 수렴 후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 심의 예정

우인섭 기자 / 1551woo@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02일

해인사 금동관음보살 좌상

해인사·성주사 불상 2건, 보물 지정 예고

30일간 의견 수렴 후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 심의 예정

해인사 금동불좌상과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등 예술·학술적 가치 높아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비지정)’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국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해인사 금동관음보살 좌상

이번에 지정 예고된 문화유산는 각각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 작품으로,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나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서 보존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성주사 석조 지장보살 삼존상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은 발원문을 통해 원래 성주 법림사 대장전에 봉안하기 위해 1351년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고려 후기 불교조각의 도상과 양식을 밝혀줄 기준작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법림사 폐사 이후에 해인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해인사 구광루에 모셔져 있다. 관음과 지장보살로 구성돼 현세와 내세의 구복적인 두 가지 신앙이 강조된 작품으로 고려시대 관음, 지장 신앙의 일면을 알 수 있는 좋은 사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성주사 석조지장보살 삼존상.시왕상일괄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승호(勝湖)를 비롯한 조각승들이 1681년 완성해 성주사에 봉안한 것이다.

승호가 제작한 불석(佛石, 제롤라이트) 명부조각* 중 규모가 가장 크며 17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제작 당시의 완전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원 봉안처에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다.
* 명부조각: 죽은 자가 심판을 받는 세계인 명부의 질서를 다스리는 시왕, 사자들의 모습을 새기거나 깎아서 만든 입체 형상


성주사 석조지장보살 삼존상.시왕상일괄

이진희 경상남도 문화유산과장은 “도내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을 적극 발굴해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을 통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물 지정 예고는 30일간의 각계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우인섭 기자 / 1551woo@hanmail.net입력 : 2025년 07월 02일
- Copyrights ⓒ인터넷함양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가장 많이 본 뉴스
포토&인물
함양군 공고
어제 방문자 수 : 117,929
오늘 방문자 수 : 98,735
합계 방문자 수 : 357,028,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