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성범 의원이 수해현장에 나온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
| 산청·합천 수해현장… 도움의 손길 ‘전국이 달려왔다’ 정당·의회·시민들 ‘복구의 손길’... 진흙 속에 다시 희망을 세우다... 자원봉사자들 한마음으로 뭉쳐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삶의 터전이 무너져버린 산청과 합천. 그러나 진흙 속에서도 공동체는 무너지지 않았다. 수마가 할퀴고 간 마을마다, 수천 명의 손길이 다시 희망을 쌓고 있다. 국회와 국민의힘, 전국의 자원봉사자들이 한마음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
 |
집중호우로 도로가 끊어지고 논밭이 유실된 산청·합천 수해현장 모습. |
|
| 7월 16일부터 5일간 계속된 집중호우로 1년 강수량의 절반이 내린 산청군과 합천군 곳곳이 침수되고, 산사태와 토사 유출 피해가 잇따랐다. 정부는 22일 이들 지역을 포함해 6개 지자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고, 국민의힘은 가장 먼저 ‘함께하는 복구’를 실천으로 보여주기 시작했다. 지난 21일 함양군 청년봉사단과 거창군 당협 부위원장단의 구호물품 지원을 시작으로, 22일엔 산청군 당원들이 현장에 투입돼 침수 주택의 토사 제거와 살림살이 정리에 구슬땀을 흘렸다.
이어 23일에는 국민의힘 경남도당 37명이, 함양 상림로타리와 중앙위원회 회원들이 산청군 곳곳에서 봉사활동에 나섰고, 같은 날 한국수력원자력 사회봉사단 40명과 경남도청 공무원 140명도 동참했다. 자원봉사 열기는 날이 갈수록 커졌다. 24일 산청군 신등면과 차황면, 시천면에는 전국 각지에서 온 당원들과 국회 산불특별위원회 의원들, 35사단 군장병들의 방역작업, 그리고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까지 힘을 보탰다.
|
 |
산청·합천 수해현장에서 일손을 돕고 있는 자원봉사자들. |
|
| 특히 국민의힘 전북도당 조배숙 위원장과 당원들은 연산마을에서 허리까지 차오른 진흙을 치우며 “이웃의 고통은 곧 우리의 고통”이라며 흙탕물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번 복구에는 정치권의 진정성 있는 연대가 돋보인다. 박형수(의성·청송·영덕·울진), 김형동(안동·예천), 김석기(경주), 권영진(대구 달서구병), 최형두(마산 합포) 의원 등이 직접 산청을 찾기로 했고, 조승환(부산 중구·영도구), 박수영(부산 남구), 김희정(부산 연제구) 의원 지역구에서도 자발적인 봉사단이 꾸려졌다. 국회 본회의장에서는 ‘함께 돕자’는 여야 의원들의 의견이 모이며, 물품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합천군으로 봉사의 무대가 옮겨간다. 이날엔 주호영 국회 부의장(대구 수성구갑), 윤재옥(대구 달서구을), 정희용(고령·성주·칠곡), 이인선(대구 수성구을), 추경호(대구 달성) 의원실 소속 당원들이 마을 복구 작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신성범 의원(국민의힘, 산청·함양·거창·합천)은 “이번 수해는 우리 지역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 전국에서 모인 수많은 손길이 산청과 합천을 따뜻하게 감싸주고 있다”며 “땀 흘려 복구에 함께 해주신 자원봉사자들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사람과 사람이 다시 손을 맞잡는 시간. 수해의 참상이 가신 자리에 남는 것은 진흙이 아니라, 함께한 사람들의 땀과 위로, 그리고 회복에 대한 희망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산청과 합천의 마을 어귀에서는 흙 묻은 손을 맞잡은 이웃들이 “괜찮다,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서로를 다독이고 있다.
|